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16

산업안전보건표지 및 3대 사고 예방 핵심 안전조치 완벽 정리 안전난간·추락방지망·안전표지 등 산업현장에서 필수로 알아야 할 핵심 정보  (1) 안전보건표지란?사업장에서 유해·위험한 장소, 시설, 물질 등에 경고를 하거나, 비상시에 대처할 방법을 안내하고, 작업자와 방문객의 안전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설치하는 표지입니다. 그림, 기호, 글자 등을 활용하며,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규정된 색상 및 규격을 준수해야 합니다.금지표지색상: 빨간색예시: 출입 금지, 사용 금지, 화기 금지, 접근 금지 등경고표지색상: 노란색예시: 감전 위험, 폭발 위험, 중량물 주의 등지시표지색상: 파란색예시: 보호구 착용 지시, 안전대 사용 지시, 안전통로 지시 등안전보건표지 제작·설치 시 유의사항표지의 크기: 그림 또는 부호는 전체 규격의 30% 이상 차지해야 함.색상 기준: 예) 파란색은 .. 2025. 3. 25.
산업현장에서 알아야 할 응급처치 가이드 산업현장 응급처치 가이드1. 응급처치의 목적과 중요성1.1 응급처치 목적생명 구조: 산업재해로 인한 심정지, 대량출혈 등 위급상황에서 피해자의 생명을 구합니다.통증 경감 및 상태 악화 방지: 골절, 화상, 찰과상 등 부상이 발생했을 때 적절한 초동조치로 통증을 완화하고 추가 손상을 줄입니다.장애 정도 감소: 즉각적인 응급처치가 이뤄질 경우, 재활 기간이나 후유증이 줄어듭니다.1.2 응급처치의 골든타임초기 4분: 심정지 발생 시 두뇌손상을 최소화하려면, 심폐소생술(CPR)은 최대한 빨리 이루어져야 합니다.1시간 이내 의료기관 도착: 대량출혈, 중증 외상 등 응급환자는 1시간 이내에 전문치료가 이뤄져야 생존율이 크게 높아집니다.2. 심폐소생술(CPR) 기본가슴 압박 속도: 분당 100~120회압박 깊이: 약.. 2025. 3. 25.
밀폐공간 작업 안전 총정리, 산소결핍∙유해가스∙예방 조치 산소결핍∙유해가스∙예방 조치1. 밀폐공간(Confined Space)의 정의밀폐공간이란환기가 불충분하고, 산소 결핍 또는 유해 가스가 존재할 수 있는 공간으로, 근로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지만 화재∙폭발 또는 유해물질 중독 위험이 있는 장소를 말합니다.예시: 탱크, 보일러 내부, 맨홀, 반응조, 정화조, 하수구, 배관,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등이러한 공간은 밖으로부터 산소나 바람의 자연유입이 제한되어 산소 농도가 쉽게 떨어지거나 유해가스가 축적되기 쉽습니다.2. 밀폐공간 내 발생 가능한 유해 상태산소 결핍산소 농도가 18% 미만인 상태산소결핍은 작업자가 저산소증으로 인해 의식을 잃거나 질식을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합니다.산소 과다공기 중 산소농도가 23.5% 이상으로 .. 2025. 3. 24.
안전관리비 적용 범위 및 품목 총정리: 제대로 알고 비용 절감까지! 안전관리비 사용법1. 안전관리비의 개념과 중요성 1.1 안전관리비란 무엇인가?안전관리비는 건설현장, 제조업, 운수업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노동자와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각종 재해·사고 예방을 위한 활동에 소요되는 비용을 말합니다. 즉,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해 규정에 따라 반드시 책정하고 사용해야 하는 비용입니다.근거 법령: 많은 국가에서 산업안전보건법(한국의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등에 따라 법정 안전관리비 항목을 명시하고 있으며, 해당 법령에 따라 사업주는 일정 기준 이상의 사업 또는 특정 공사 범위에서 안전관리비를 책정해 의무적으로 지출해야 합니다.필요성: 산업재해가 발생할 시 인명 손실, 치료비 부담, 공사·생산 지연 등에 따른 막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2025.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