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76

2025 최신 순환골재 법적 사용기준 총정리: 의무사용 공사부터 품질등급까지 완벽 가이드 순환골재 법적 사용기준은?1️⃣ 순환골재가 법으로 중요해진 3가지 배경탄소·천연골재 부담 증가 — 2024년부터 천연골재 채취 부담금이 ㎥ 당 30% 인상되어, 원가절감·탄소저감이 시급해졌습니다.「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건설폐기물법) 개정 — 2024.3.15.부터 발주자는 ‘의무사용 공사’에 품질기준(제35조) 적합 순환골재를 써야 합니다. 예외는 △품질 확보 곤란 △도서·벽지 수급 곤란 △가격이 천연골재보다 비싸다는 것이 입증될 때뿐입니다.품질 미준수 시 처벌 강화 — 환경부는 2024-05-07 고시에서 “기준 미달 순환골재는 건설폐기물로 간주, 판매 시 허가 취소·과징금”이라며 강경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2️⃣ 국가 기준 체계 한눈에 보기구분주관 부처핵심 근거주요 내용품질등급국토교통.. 2025. 6. 12.
2025 순환 상온 아스팔트 혁명 탄소와 비용을 모두 잡는 차세대 도로포장 기술 가이드본 문서는 순환 상온(저온) 아스팔트 기술의 개념‧설계‧시공‧경제성‧ESG 연계까지 전 과정을 다루는 심층 가이드입니다. 국내 최신 지침(2024 개정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지침, 2025 도로공사 표준시방서)과 해외 사례를 교차 검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목차왜 지금 ‘순환 상온 아스팔트’인가?용어 정리 (HMA·WMA·CMA/CCPR)공정 메커니즘 4단계재료 및 권장 배합생산 방식 비교 (CCPR vs CIR/FDR)성능 평가 핵심 지표경제·환경 효과 숫자로 보기국내·해외 적용 사례기술 트렌드(2025~2030)1️⃣ 왜 지금 ‘순환 상온 아스팔트’인가?국내 도로포장의 약 97 %가 아스팔트이며, 매년 약 1,800만 톤 + .. 2025. 6. 12.
철근면적을 구하여 고, 중, 저배근 알아보는 법 고배근에서 콘크리트 대비 철근비율을 알아내는 방법은 철근의 단면적을 콘크리트 단면적과 비교하여 계산합니다. 즉, 철근의 면적을 전체 콘크리트 면적으로 나누어 철근비율을 구하면 됩니다. 구체적인 계산 방법: 1. 철근 단면적 계산:철근의 지름을 알고 있다면, πr²(원 면적 공식)를 사용하여 철근 하나의 면적을 구합니다. 모든 철근의 면적을 합산하여 전체 철근 면적을 계산합니다.2. 콘크리트 단면적 계산:콘크리트 부재의 폭과 높이를 곱하여 단면적을 계산합니다.3. 철근비율 계산:철근 단면적을 콘크리트 단면적으로 나누어 철근비율을 계산합니다.4. 비율 표시:철근비율은 보통 백분율 또는 비율로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철근비율이 0.01이면 1%와 같습니다. 예시: 콘크리트 부재의 폭: 20cm, 높이: .. 2025. 6. 5.
수구환수형 풍수지리 완전 해석: 강물 곡류가 부르는 재물·안정의 비밀 수구환수형의 정체와 역사읽기 전 한 눈 요약*수구환수형(水口環水形)*이란 강이나 하천이 마을·대지를 U자 혹은 말굽형으로 둘러싸면서 흐름이 느려지는 지형이다. 동양 풍수에서는 ‘재물이 그릇에 고이듯 모이는 명당’으로 불린다.1. 용어 정의와 한자 풀이수구(水口): 물길이 드나드는 입구.환수(環水): 둥글게 감싸는 물줄기.▶ 두 단어가 만나 “물의 입구가 둥글게 안은 형상” → 재물이 집·터 안으로 흘러오고 나가지 않는 구조.2. 역사적 근거조선 『택시경(擇理經)』: “천수감곡, 부국강민지처”(물길이 감싸면 부유하고 백성이 강건하다).중국 송대 『양택십서』: 수구환수는 ‘금광형(金壙形)’이라 칭해 상업 번영이 두드러졌다고 기록.3. 천·지·인 삼재(三才) 관점천(天) – 하늘 기운이 물 위로 머물러 습·열.. 2025. 5. 29.
반응형